화공직 전공/열역학10 비열, 고체의 비열(Dulong, Kopp 법칙) [비열(kcal/kg℃)]1kg을 1℃ 상승하는데 필요한 열량 물질의 종류마다 다름비열의 경로의존성 : Cp > Cv액체와 고체, 비압축성 유체는 상태에 따른 변화가 없다(Cp≒Cv) 단, 기체는 상태에 따라 비열이 다르다온도(T)의 함수(실제기체도 온도만의 함수)비열 大(크다) = 온도변화 B(Bad, 안좋다)일반적으로 금속비열 小(=전도 G)분자화합물의 Cp는 각 구성원자 온도 기여도의 합으로 계산고체와 액체는 현열열량을 측정하여 비열을 얻는다기체의 경우, 일정압력에서 열용량(Cp)은 일정부피에서 열용량(Cv)보다 항상 크거나 같다 ★암기법★ 비열이 크다 = 1도를 높이기 위해 열 많이!비열이 작다 = 1℃를 높이기 위해 열 적게! → 같은 열을 줄 때, 온도변화가 크고 열 전달이 잘 됨 = 전도성.. 2023. 7. 20. [열역학] 닫힌계(폐쇄계), 열린계(개방계), 고립계 [닫힌계(폐쇄계)] - 에너지 보존의 법칙물질교환 X, 에너지(열,일) 전달 O열역학 제1법칙(에너지 보존의 법칙) : △U = Q + W상평형 : △G = △H - T△S외부와 열 전달을 할 수 있다내부에서 화학반응 일어날 수 있다여러 상이 존재할 수 있다 [열린계(개방계)] - 물질수지물질교환 O(가변 질량), 에너지 전달 O물질 수지 : 열린계 / 물질의 도입량, 배출량, 축적량의 균형이 맞아야 함(축적량 = 도입 - 배출 = 최종 - 초기) [닫힌계(폐쇄계)] - 질량보존의 법칙물질교환 X, 에너지 X 각각 어느 법칙?에 연관되어 있는지가 중요하다! 더 자세한 자료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! https://kmong.com/self-marketing/532464/LshUjj.. 2023. 7. 19. [열역학] 현열(감열), 잠열, 잠열 추산방법(Clausius,Trouton,Chen,Watson) [현열(감열)]Q = m Cp △T : 현열상태변화 X, 온도변화 O 사용된 열량 [잠열]Q = mλ = -△H (λ : 잠열량, kJ/kg)일정 T, P 다른 상으로 전이될 때 엔탈피 변화순수한 물질이 상변화할 때, 온도변화는 없으나 주위로부터 물질로 이동하는 열상변화에 수반되는 잠열은 T의 함수(F, 자유도=1)기체가 응축하면서 잃는 열융해열 : 80 cal/g, 증발열 : 539 cal/g(★암기)승화열 = 융해열 + 증발열 (고↔기) (고↔액) (액↔기) [잠열(△H)의 추산 방법]① Trouton 법칙② Clausius-Clapeyron식③ Chen식④ Watson식④ Riedel식 더 자세한 자료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! https://kmong... 2023. 7. 18. [열역학] 열량(cal, Btu, CHU) 비교 [열량 비교] 열량 : 분자운동에 의한 에너지(E), 보유한 열의 양 1cal = 1g/℃ = 4.186 J : 1g의 물을 1℃ 올리는데 필요한 E(1kcal = 427 kgf m = 4 Btu) 1Btu= 1lb/℉ = 1/4 kcal = 252cal : 1lb의 물을 1℉ 올리는데 필요한 E 1CHU = 1lb/℃ = 454 cal : 1lb의 물을 1℃ 올리는데 필요한 E ★암기법★1cal는 g과 ℃로 우리한테 익숙한 단위이다1Btu는 우리가 알던거랑 반대로 생각(영국단위)하면 lb과 ℉로 된다!!그리고 1kcal = 4Btu 를 암기해야하는데 kcal가 Btu보다 더 크다는걸 알고 있음 식이 안 헷갈린다!(이건 아래 추가 설명)쉽게 k가 들어간것은 다 크다고 보면된다!!(kW, kcal 모.. 2023. 7. 17. 이전 1 2 3 다음